본문 바로가기
웹기술

LEPM 웹서버 UBUNTU + NGINX + PHP7-FPM + MARIADB !!!

by IOT장난감 2017. 8. 19.


통상적으로 웹서버 구성시

LAPM(LINUX + APACHE + PHP + MYSQL)을 많이 사용하였지만 최근

LEPM(LINUX + NGINX + PHP-FPM + MARIADB)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서버도 CENTOS를 대부분 섰지만 최근에는 UBUNTU서버가 발빠르게 늘어나는 추세이다.

우분투데스트탑의 발전과 함께 확실히 우분투 서버 또한 편리하고  발빠른 패치, 다양한 소프트웨어 지원,LTS 버젼 시스템, 

클라우드환경에 적합,iot에 친화적 보안도 우수하다. 한번설치해 놓으면 굉장히 안정적이다.

확실히 우분투는 견고해졌다. 이제 서버도 우분투가 대세가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뭔가 변화하는건 참 두려운일이지만 변화하는게 맞다.

좀더 빠르고 좀더 안정적이고 좋은 시스템으로의 변화



웹환경도 많이 변화하고 있다.

PHP도 이젠 PHP7로 서비스하고 발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PHP7의 속도는 진짜 빠르다


서버환경도 변화할때가 됐다.







우분투(영어: Ubuntu)는 데비안 GNU/리눅스(Debian GNU/Linux)에 기초한 컴퓨터 운영 체제로서 고유한 데스크탑 환경인 유니티를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이다. 

영국에 기반을 둔 회사인 캐노니컬의 지원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여섯 달마다 새 판이 하나씩 나오는데 이것은 GNOME의 새 판이 나오는 시기와 비슷하다. 

데비안 GNU/리눅스와 견주어 볼 때 사용자 편의성에 많은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분투는 그 이름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건국 이념인 우분투 정신에서 가져왔다. 

남아프리카 성공회 대주교인 데스몬드 투투 대주교에 의하면 우분투에는 옮겨 쓰기에는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뜻이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우분투 운영 체제 사용자들 사이에서, 우분투는 반투어로 "네가 있으니 내가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문서에선 "다른 사람을 위한 인간애"(영어로는 "humanity towards others")라고 번역되어 있다.

2012년 기준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분투는 개인용 데스크톱과 노트북에서 가장 인기있는 리눅스 배포판이다. 


Nginx(엔진 x라 읽는다)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로, 가벼움과 높은 성능을 목표로 한다. 

웹 서버, 리버스 프록시 및 메일 프록시 기능을 가진다.


Netcraft의 2011년 1월 웹서버 설문조사에 따르면, nginx는 전체 도메인에서 4번째(7.50%)로 많이 쓰이는 웹서버이며, 

활성화된 웹 사이트에 대한 통계에서도 역시 4번째(8.23%)로 많이 사용된다[1]. 2017년 6월 현재 Nginx는 한국 전체 등록 도메인 중 24.73%가 사용하고 있다.


Nginx는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비동기 이벤트 기반 구조를 가진다. 이것은 아파치 HTTP 서버의 스레드/프로세스 기반 구조를 가지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러한 구조는 서버에 많은 부하가 생길 경우의 성능을 예측하기 쉽게 해준다.


PHP-FPM는 PHP FastCGI Process Manager의 약자로 PHP를 FastCGI 모드로 동작하도록 해준다. PHP5.4 RC부터는 PHP에 기본 내장 되었다. PHP-FPM을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이 생긴다. 

  • Adaptive process spawning 
  • Basic statistics (ala Apache's mod_status) 
  • Advanced process management with graceful stop/start
  • Ability to start workers with different uid/gid/chroot/environment and different php.ini (replaces safe_mode)
  • Stdout & stderr logging
  • Emergency restart in case of accidental opcode cache destruction
  • 업로드를 빠르게 처리해준다.
  • "slowlog"를 통해서 느리게 동작하는 부분을 추적할 수 있게 한다.
  • Enhancements to FastCGI, such as fastcgi_finish_request() - 요청을 일단 끝내고 후처리가 요구되는 작업을 백그라운드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MariaDB는 오픈 소스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다. 

MySQL과 동일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GPL v2 라이선스를 따른다. 

오라클 소유의 현재 불확실한 MySQL의 라이선스 상태에 반발하여 만들어졌으며, 배포자는 몬티 프로그램 AB(Monty Program AB)와 저작권을 공유해야 한다.

이것은 MySQL과 높은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며, MySQL APIs와 명령에 정확히 매칭하여, 라이브러리 바이너리와 상응함을 제공하여 교체 가능성을 높이고자 함이다.

마리아 DB에는 새로운 저장 엔진인 아리아(Aria)뿐만 아니라, InnoDB를 교체할 수 있는 XtraDB 저장 엔진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트랜잭션과 비트랜잭션 엔진 그리고 미래에 나올 MySQL 판에 대응하고자 함일 것이다.


마리아 DB의 주요 개발자는 MySQL과 몬티 프로그램 AB를 설립한 마이클 몬티 와이드니어스(Michael Monty Widenius)이다.

그는 이전에 자신의 회사, MySQL AB를 썬마이크로시스템즈에 10억 달러에 판매를 한 적이 있으며, 마리아 DB는 그의 둘째 딸인 마리아의 이름을 딴 것이다.


설명발췌[위키백과]


lepm  설치강좌


https://blog.lael.be/post/2600

http://koyo.kr/50


http://smaugflare.blogspot.kr/2017/05/1604-nginx-php71-mariadb.html